실제 사례로 알아보는 질식 사고 및 호흡기 관련 사고와 대비법

질식 사고 예방을 위한 호흡기 안전장비, 생명을 지키는 최후의 방어선

이번 코너에서는 산업 현장에서 끊이지 않는 질식 사고 등의 호흡기 관련 사고 사례를 분석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핵심 안전 수칙과 도구 활용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 발생했던 치명적인 사건들을 근거로, 호흡기 관련 안전장비의 중요성을 집중 조명합니다.

1. 치명적인 위협, 호흡기 관련 사건·사고의 유형과 국내 사례

호흡기 관련 산업재해는 밀폐공간 질식과 유해물질 중독이 대표적이며,
사망률이 매우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고는 기본적인 안전 수칙과 보호구 미착용으로 인한 ‘예고된 인재(人災)’입니다.

호흡기 관련 사고는 주로 밀폐공간에서의 질식, 화학물질/분진 흡입, 환기 부족으로 분류됩니다.
최근 10년간(2014~2023) 국내에서 밀폐공간 질식사고만 174건 발생해 338명의 재해자를 냈으며,
치명률이 50%에 달합니다. 이는 전체 호흡기 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건설·제조업에서 빈번합니다. 아래 표는 한국 주요 사례를 유형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유형주요 원인 물질발생 장소 (국내)치명적인 결과근거 사례
밀폐공간 질식산소결핍, 황화수소, 이산화탄소, 메탄 등오폐수처리장, 정화조, 맨홀, 하수처리장, 폐기물 수조, 탱크 내부사망, 중태
(질식사고 사망률 약 42.3%)
경주 아연가공업체 지하수조 질식 사고 (사망), 폐수처리장 황화수소 중독 사고
유해물질 흡입
및 중독
디클로로메탄, 벤젠, 특정 유기용제, 미세 분진 등화학제품 취급 현장, 유기용제 사용 작업장급성/만성 호흡기 질환
(호흡곤란, 폐암 등)
현대제철 유독가스 사망사고 (일회용 마스크 착용), 폐기물 운반 작업자의 만성 질환
분진/화학물질 흡입오랜 기간 유해 연기 흡입으로 인한 질병급식실, 모든 유해환경 작업장폐암 등으로 인한 사망. 충북 음성 급식실 환기시설 미비로 인한 질병 발병 후 사망

주요 사고 사례

>2025년 10월 경주 아연가공업체 지하수조 질식 사고: 수조 배관 작업 중 노동자 4명이 쓰러져 3명이 사망했습니다.
작업 전 산소·유해가스 농도 측정 및 송기마스크 착용 등 기본 안전수칙 미준수가 의심되는 사례입니다.
> 2024년 2월 인천 현대제철 유독가스 사고: 폐기물 수조 작업 중 유독가스로 1명 사망했습니다.
6명 부상. 근로자들이 규격에 맞는 호흡용 보호구 대신 일회용 마스크만 착용했던 것으로 드러나 피해가 커졌습니다.

사고 원인 분석

호흡기 사고의 근본 원인은 안전장비 미착용(약 40%), 가스/산소 농도 미측정(86%),
환기 및 감시 미실시로 요약됩니다.
특히 밀폐공간 사고에서 10년간 126명 사망자 중 18명(14.3%)이 맨홀 작업 중 발생했는데,
이는 작업 전 기본 점검 부재가 주요 원인입니다.

2. 재발 방지 및 안전 확보를 위한 체크리스트

호흡기 관련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작업 전/중/후의 체계적인 안전 관리 시스템이 반드시 구축되어야 합니다.
특히 밀폐공간 작업 시 안전보건 수칙 3대 기본 원칙은 생명과 직결됩니다.

밀폐공간 작업 3대 안전 수칙 체크리스트

항목점검 내용조치 및 책임자
1. 작업 전 유해가스 측정작업 전 산소 농도(18% 이상 23.5% 미만) 및 유해가스(황화수소, 일산화탄소 등) 농도를 측정했는가?휴대용 가스 측정기로 측정 후 기록 필수
(관리감독자)
2. 충분한 환기작업 시작 전 충분한 환기를 실시하였고, 작업 중에도 지속적인 환기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유해가스 발생 시 강제 환기 필수)환풍기/송풍기 설치 및 작동 확인 필수
(작업반장)
3. 호흡용 보호구 착용적합한 송기마스크 또는 공기호흡기를 작업자 전원이 착용하였으며, 비상용 보호구도 준비되어 있는가?개인 지급 및 착용 상태 확인 필수
(작업자 및 관리감독자)

추가 안전 확보 체크리스트

✓ 교육: 밀폐공간 특별 안전보건 교육을 이수하였고, 비상시 행동 요령을 숙지하였는가?
✓ 감시인 배치: 밀폐공간 외부에는 비상 연락망과 구조 장비를 갖춘 감시인이 배치되어 있는가? (감시인은 절대로 이탈 금지)
✓ 작업 허가서: 밀폐공간 출입 전 작업 허가서(Permit-to-Work)를 발급받았고, 안전 조치 사항이 모두 이행되었는가?
✓ 구조 장비: 공기호흡기, 구명밧줄, 구급약품 등 구조 장비가 작업장 주변에 비치되어 있는가?

3. 사고 방지 및 예방을 위한 도구·장비 가이드

호흡기 재해는 적절한 보호구 착용만으로도 거의 100% 예방이 가능합니다.
작업 환경에 맞는 ‘제대로 된’ 호흡기 보호구를 선택하고 사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핵심 보호구와 3M 안전 솔루션

환경/위험 유형필수 보호구보호구 특징 (3M 솔루션 예시)
산소결핍, 고농도 유해가스
(밀폐공간)
송기마스크 (Air-Supplied Respirator) 또는 공기호흡기 (SCBA)3M S-133LG 헤드탑 후드 송기식마스크: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산소농도 부족 및 고농도 유해가스로부터 완벽하게 보호. 생명을 살리는 최후의 수단.
특정 유해가스, 증기
(저농도)
방독마스크 (Gas Mask)3M 마스크 안면부 여과식/전면형 방독마스크(3M 6200, 6800) + 유기화합물 카트리지: 유해 가스 및 증기를 카트리지로 흡착/제거. 방독 정화통의 사용기한과 교체 주기 준수가 중요.
미세 분진, 미스트, 흄방진마스크 (Dust Mask)3M Aura 방진마스크 9332K+, 8822(특급/1급): 미세먼지, 용접흄 등 입자성 유해물질 차단. 작업 특성에 따라 특급(가장 높은 등급) 이상의 등급을 사용해야 함.
비상 구조 및 탈출비상용 공기호흡기3M 스캇(SCOTT) 공기호흡기: 예상치 못한 상황 발생 시 즉시 착용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짧은 시간 동안 공기를 공급.

마무리하며

안전사고 중 호흡기 관련 사고의 위험은 상대적으로 더 높습니다.
따라서 확실한 가이드라인 준수와 실행이 정말 중요합니다.
작업 환경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3M과 같은 검증된 안전 장비의 올바른 사용으로 소중한 생명을 지키십시요.
안전은 타협할 수 없는 가치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산업용 방독 마스크의 중요성과 선택방법 (1편)
산업안전관리자가 알아야 하는 방진 마스크의 모든 것 (1편)

+ More Posts

위로 스크롤